◈1950년도 암울했던 그시절의 사진◈ ▲ 1950. 11. 24. 불타버린 서울역 앞 세브란스 병원. ![]() ▲ 1950. 10. 7. 불타고 있는 김포 비행장. ![]() ▲ 1950. 10. 18. 전화에 그을린 중앙청. ![]() ▲ 1950. 10. 18. ”국파산하재(國破山河在) “ ![]() ▲ 1950. 9. 20. 왜관, 낙동강 철교 복구 공사. ![]() ▲ 1950. 10. 12. 미조리호 군함에서 ![]() ▲1950. 10. 20. 400여 명의 낙하산 부대가 ![]() ▲ 1950. 12. 18. 북한군에게 뿌린 귀순 권유 전단. ![]() ▲1950. 11. 2. 적십자사에서 피난민에게 구호물자를 나눠주고 있다. ![]() ▲1950. 10. 13. 경기도 파주, 참혹하게 학살된 시신들. ![]() ▲1950. 11. 1. 서울 중앙청 앞 지금의 문화관광부 자리. ![]() ▲1950. 11. 2. 원산의 한 성당. ![]() ▲1950. 11. 6. 북한의 어느 농촌. 탈곡한 볏단을 달구지에 싣고 있다. ![]() ▲1950. 11. 6. 북한의 어느 농촌. 전란 중에도 추수를 하고 있다. ![]() ▲1950. 11. 19. 북한의 한 지하 무기 공장 내부. ![]() ▲1950. 11. 20. 국경지대. ![]() ▲1950. 11. 18. 미군 폭격으로 파괴된 흥남 비료공장. ![]() ▲1950. 11. 18. 미군 폭격으로 파괴된 흥남 송전소. ![]() ▲1950. 11. 23. 함경도 갑산. 미군 폭격으로 성한 집이 드물다. ![]() ▲1950. 11. 1. 황해도 평산에 진격하는 유엔군을 ![]() ▲1950. 12. 4. 평양을 떠나 대동강을 건너 후퇴하는 국군. ![]() ▲1950. 12. 6. 황해도 사리원. ![]() ▲1950. 12. 8. 경기도 금촌, 38선을 넘어 후퇴하는 유엔군 차량들. ![]() ▲1950. 12. 9. 끊어진 한강철교. ![]() ▲1950. 12. 10. 포화에 불타는 마을. ![]() ▲1950. 12. 12. 한강 부교를 통하여 후퇴하는 차량들. ![]() ▲1950. 12. 12. 피난민들이 한강을 나룻배로 건너고 있다.
![]() ▲1950. 12. 12. 유엔군들이 인천항을 통해 장비들을 후송시키고 있다. ![]() ▲1950. 12. 12. 유엔군들이 후퇴하면서 ![]() ▲1950. 12. 3. 평양, 남행 피난민 행렬 속의 한 소녀. ![]() ▲1950. 12. 10. 중공군의 참전으로 강추위 속에 후퇴 행렬. ![]() ▲ 1950. 12. 12. 흥남부두, LST 함정에 가득 탄 군인과 피난민들. ![]() ▲1950. 12. 14. 서울역, 남행 피난민들이 북새통을 이루고 있다. ![]() ▲1950. 12. 16. 흥남,
국군과 유엔군들이 후퇴하고자 부두에서 수송선을 기다리고 있다. ![]() ▲1950. 12. 27. 흥남, 얕은 수심으로 수송선이 해안에 닿을 수 없자 유엔군들이 바다에 뛰어들어 LST로 가고 있다. ![]() ▲1950. 12. 24. 흥남, 유엔군들이 철수 후 부두를 폭파시키고 있다. ![]() ▲1950. 12. 19. 묵호. 흥남에서 철수한 장비를 ![]() ▲1950. 12. 28. 서울, 피난민들이 강추위 속에 ![]() ▲1951. 1. 5. 피난 행렬 속의 소년과 소녀. ![]() ▲1950. 10. 11. 서울 교외, 부서진 북한군 전차 위에서 아이들이 놀고 있다. ![]() ▲1950. 11. 1. 전란으로 폐허가 된 서울. ![]() ▲1950. 12. 28. 끊어진 한강 철교. 오른쪽은 임시로 만든 부교. ![]() ▲1951. 1. 3. 한강 철교 부근의 언 강을 피난민들이 걸어서 건너고 있다. ![]() ▲1951. 3. 16. 서울 중구의 수도극장(현 스카라 극장) 일대.
![]() ▲1951. 3. 16. 하늘에서 내려다 본 중앙청 광화문 세종로 일대. ![]() ▲1951. 3. 16. 비행기에서 내려다 본 왕십리 일대. ![]() ▲1951. 3. 16. 하늘에서 내려다 본 서울역 일대. ![]() ▲1951. 3. 16. 하늘에서 내려다 본 중앙청, 경복궁, 수송동, 팔판동 일대. ![]() ▲1951. 3. 19. 구호 양곡을 먼저 탄 소년과 양곡을 타기 위해 줄을 선 주민들. ![]() ▲ 1950. 10. 12. 원산. 학살된 시신들. ![]() ▲1950. 12. 11. 고단한 피난길. ![]() ▲1950. 12. 16. 폭격에 엿가락처럼 휘어진 철교. ![]() ▲1950. 12. 17. 보급품을 실은 화물 열차가 폭격에 불타고 있다. ![]() ▲1950. 12. 18. 대구. 대구역전 광장에 집결해 있다. ![]() ▲ 1950. 12. 18. 전방으로 떠나는 신병들. ![]() ▲1950. 12. 18. 대구역. “총알을 요리조리 잘 피해서 어예든동 살아 오이라.” ![]() ▲1950. 12. 21. 경북 왜관. 낙동강 철교 어귀에 부서진 북한군 소련제 탱크. ![]() ▲1951. 1. 20. 아버지와 아들의 피난길. 다른 가족은 전란에 모두 죽었다. ![]() ▲1950. 6. 18. 6.25 한국전쟁 발발 일주일 전 의정부 북방 38 접경에서 미 국무장관 덜레스 (가운데) 일행이 38선 너머 북쪽을 살피고 있다. ![]() ▲1950. 6. 18. 미 국무장관 덜레스 일행이 38 접경 지대를 살피고 있다. ![]() ▲1950. 7. 한미 수뇌부들이 환담하고 있다. ![]() ▲ 1950. 7. 26. 맥아더 장군이 전선을 시찰하는 중, ![]() ▲ 1950. 8. 15. 이승만 대통령과 신성모 국방장관이 8.15 경축식을 끝낸 후 임시 국회의사당인 문화극장을 떠나고 있다. 라고 상대의 전력도 모른 채 큰 소리쳤으나 6.25 발발 후 서울시민은 팽개치고 몰래 서울을 빠져나갔다. ![]() ▲ 1950. 8. 18. 백선엽 장군(가운데)이 미군과 함께 작전을 세우고 있다. ![]() ▲ 1950. 9. 16. 구포 신병 훈련소에서 훈시하는 이승만 대통령. ![]() ▲ 1951. 2. 7. 전선을 시찰하는 맥아더 장군. ![]() ▲ 1951. 2. 15. 대한민국 해상 이동방송선(HLKT)을 방문한 장면 총리 일행. ![]() ▲ 1951. 9. 콜트 미 8군 부사령관의 이임식장. ![]() ▲ 1950. 10. 22. 평양, 북한 주민의 학살 현장. 누가 그들을 죽였을까? ▲ 1950. 11. 2. 거리에 버려진 아이들이 트럭에 실려 고아원으로 가고 있다. ![]() ▲ 1950. 11. 11. 바지 저고리들의 포로들. 총이나 한 번 제대로 잡아보고 포로가 되었는지? ![]() ▲ 1950. 11. 13. 함흥 덕산광산. 한 아버지가 아들을 찾고 있다. ![]() ▲ 1950. 11. 13. 지아비가 생매장된 갱도 어귀에서 오열하는 지어미. ![]() ▲ 1950. 8. 12. 북한군 포로. ![]() ▲ 1950. 8. 10. 폭격으로 불타는 마을. ![]() ▲ 1950. 8. 10. 핫바지들을 인솔하는 미 해병대. ![]() ▲ 1950. 7. 29. 경북 영덕, 포화에 쫓기는 피난민. |
'교양 이야기 > 전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노르망디의 과거와 현재 (0) | 2015.11.25 |
---|---|
[스크랩] ◈북경 조선전쟁박물관 소장 사진들◈2015.09.24. (0) | 2015.09.25 |
[스크랩] ◈맥아더 장군의 인천상륙 작전성공◈2015.07.29. (0) | 2015.07.29 |
[스크랩] ◈상기하자 6.25 흥남부두 철수작전◈2015.06.25. (0) | 2015.06.29 |
전쟁: 제2차 세계대전 지역별 피해(4.1 수) (0) | 201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