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스]
라오스 2005/11/20 21:47
*국명
공식명칭은 라오스 인민 민주주의 공화국(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
간단히 라오스(Laos)라고도 한다.
*위치
라오스는 인근에 접한 여러 나라와의 사이에서 유일하게 바다가 없는 내륙 국가이다
.이는 지리적으로 나쁘게 작용하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동으로는 중국과 베트남에 둘러져 있으며,
서쪽으로는 태국과 미얀마 그리고 남으로는 캄보디아와 접해있다.
국토의 총면적은 대략 236,800㎢로 한반도의 약1.1배에 해당한다.
*기후
라오스의 기후는 동남아 특유의 몬순기후로 남서풍이 부는 5∼11월의 우기와
북쪽에서 건조한 바람이 부는 12∼4월의 건기로 나뉘어진다.
특히 4월의 기온은 위엥짠의 경우 한낮의 수온주가 최고 38도 이상 올라
거의 숨이 막힐 정도로 무더운 계절이다.
연평균강우량은 1,500mm내외이지만 남부지역과
고원지대에서는3,000mm 이상 내리는 곳도 있다.
*인구
라오스의 전체인구는 다소 유동적이지만 대략 650만명 정도로 추산되며,
이중 수도인 위엥짠에만 60만명 정도가 거주하며
그 외 사반 나켓에 10만명 , 루앙프라방에 8만명 정도로 예상된다.
*민족
라오스는 무려 68개의 다른 인종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다민족 국가로
이중 라오족이 60%정도의 인구 비율을 차지하며,
기타 소수 민족으로는 베트남,타이,캄보디아,중국계가 있다.
*언어
공식언어는 라오어(LAO)이며, 젊은 층에서는 영어가 조금 통용되며,
그 외 불어도 통용되는데 주로 연세가 많은 분들의 경우가 많으며 러시아어도 조금 통하는 편이다.
*경제
-국내 총샌산(GDP): US$97억
-1인당 국내 총생산: US$2071
-연 성장률 : 7%
-인플레이션: 6%
-주요 생산품: 쌀, 담배, 커피, 주석, 목재, 아편
-주요 교역국: 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일본
*주요국경일
1월 6일 : 라오스 애국전선일
3월 8일 : 국제여성절
4월 13일 : 라오스 신년(3일 연휴)
5월 1일 : 국제 노동절
6월 1일 : 국제 아동절
10월 22일 : 독립기념일
12월 2일 : 라오스 인민공화국 기념일
*라오스의 대외관계
오랫동안 인근의 국가인 중국,태국 그리고 베트남과의 이해관계가 얽힌 특이한 위치해 놓인 라오스는
20년 간을 중국과 태국이 아닌 베트남으로부터 정치,경제 그리고 군사적으로 큰 영향을 받았다.
구 소련의 붕괴 후 새로운 동반자를 모색하던 라오스는 중국을 파트너로 구상
1989년 당시 수상인 "케손 폼비안"이 중국을 방문하였고,
이에 답방 형식으로 1990년 중국의 수상이 라오스를 방문,
향후 5년 간 총 900만 달러 상당의 원조를 약속했으며,
추가로 도로건설과 수력발전에도 경제적인 지원을 하였다.
90년 대를 전후로 새롭게 부상한 태국이 서서히 라오스 시장을 잠식하기 시작했는데,
태국은 현재 라오스 총 해외투자국 중 거의 60% 이상을 독점하고 있는데,
이미 상당 부분 경제 분야 외에도 문화적으로 태국의 손아귀에 들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라오스의 국민 조차도 자국의 화폐나 미국의 달러보다도 더 태국의 화폐인 밧을 선호한다 .
* 국기
1. 일반 현황
라오스는 고온 다습한 전형적인 열대성 기후로서 각종 풍토병이나, 전염병이 발생하고있음.
- 대표적인 것으로 말라리아,
뎅기열, 각종 기생충 질환, 요드 겹핍증, 콜레라 등이 있음.
- 보건부 산하의 '말라리아.기생충.곤충학 연구소'가 중심이 되어 예방 활동을 하고 있음.
-일반 국민의 위생상태나 생활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유아 사망율(출생 천명당 생후 1년 이내 사망 유아수)이나,
평균 수명면에서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 지역과 같은 세계 최저 수준임.
- 유아 사망율 92(베트남 40, 중국 43, 태국 29),
평균 수명은 59세로 아세안 국가들 중 최하위이며, 동남아 지역 평균보다 14세 낮음.
- 라오스보다 평균 수명이 낮은 것으로 보고된 나라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21개국뿐임.
- 최근 라오스 보건당국 및 국제원조기관의 노력결과, 유아 사망률은 점차 낮아지고 있으며,
평균 수명은 증가하고 있음.
-도시 주민의 35%만이 안전한 식수를 공급받고 있으며,
의사 1인당 인구수의 경우 수도 비엔티안 지역이 1,089명이고, 전국 평균은 의사 1인당 4,200명에 달함.
-높은 출생률과 사망률을 반영하여 인구의 45%를 15세이하의 연령층이 차지하고 있음.
2. 의료사정
보건부, 국립대학 의학부, 의료관계의 각종 전문학교, 병원, 연구소 등의 협조하에,
공중위생 분야의 기반 확충, 예방접촉 확대,
보건서비스 제공 네트 워크 구축 등에 특히 중점을 두고 시책을 펴고 있음.
-비엔티안 시내에 마호솟, 세타티라, 미타팝 등 국립종합병원들이 있으나,
1975년 공산화 이전의 의료기구들을 아직 사용하고 있는 등 설비가 낙후되어 있어
응급치료, X-Ray촬영, 간단한 혈액검사 등 외에는 외국인들이 이용하기는 어려운 실정임.
3. 에이즈 감염 실태
-라오스에서 최초의 에이즈 환자가 보고된 것은 1992년이며,
WHO에 따르면 현재 약 3,000명 정도의 환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라오스에서 에이즈 위험 지역으로 알려진 곳은
수도 비엔티안, 보케오주, 챰파삭주 등이 꼽히고 있으며,
이들 지역은 모두 태국과 교통이 빈번한 지역이라는 공통점이 있음.
-라오스정부는 '에이즈예방 국가위원회' 를 설치하여,
예방 캠페인 실시 등 대책에 나서고 있음.
* 교육
1.일반현황
*학제는 초등학교 5년, 중등교육 6년(우리나라의 중학교 및 고등 학교 과정에 해당)으로 이루어져 있음.
헌법에 초등교육은 의무 교육으로 규정되어 있으나
실제 취학율은 전국 평균 75%(여자 72%, 남자 79%) 정도임.
*중등과정 취학율은 전기 3년 과정이 39%(여자 33%, 남자 46%),
후기 3년 과정이 19%(여자 15%, 남자 22%) 정도임.
-대학 취학율은 2%(여자 1%, 남자 3%)에 지나지 않음.
-성인 문자 해득율은 전국 평균 58%(여성 42%, 남성 64%)임.
-라오스정부는 제5차 사회.경제개발계획(2001-2005)에 따라
초등교육 의무화, 도.농 교육 격차 해소, 각급 교육기관 시설확충,지역별 전문학교 설립 등을 추진 중임.
2. 교육기관
*학교수
1996년 ADB에 의한 대학개혁 계획에 따라 기존 3개 대학과
9개의 고등전문학교(전기, 전자, 전축, 교통.운수, 관개, 삼림, 농업 등)을 통합하여
라오스 유일의 대학으로서 라오스 국립대학을 설립함.
- 이학부, 교육학부, 인문학부, 경제.경영학부, 건축.공학부, 농업.삼림학부, 의학부, 법학부
-이밖에도 직업훈련기관으로서 초등, 중등 및 고등 3종류의 직업훈련 학교가 있음.
-학생들의 등교모습
|
* 종교
- 헌법에는 모두에게 종교의 자유가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서 말하는 자유는 완전한 자유가 아니다.
가르침이나 전파하는 것은 허용이 되지 않는 전제이다.
따라서 개인으로 무슨 종교를 가질 수 있으나 모여서 교리를 가르치거나 전도를 해서는 안 된다.
오직 집회가 가능한 곳은 정부가 허락한 일정한 장소 또는 교회에 국한한다.
라오인 크리스천들이 투옥되어 있어 완전한 종교의 자유는 요원한 상태이다.
외국인에 대한 종교적 감시는 라오인보다 더 강화하고 있다.
종교적 목적으로 입국하고자 하는 외국인 방문객은 모두 불허하고 있다.
외국인은 어떤 형태의 집회나 가르침이나 문서 배포를 할 수 없다.
만일 외국인이 어떤 종교적 활동을 하다가 적발되면 체포되거나 24시간 내에 추방 당하게 된다.
이런 이유로 98년에 5명의 외국인들이(미국3명,프랑스1명,태국1명) 추방당한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 라오스는 여러 지역에서 들어와 형성된 나라이기에 많은 종류의 신앙이 함께 공존하고 있다.
그래서 지역에 따라서 또는 마을과 마을에 따라서 종교가 다른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가장 넓게 퍼져 있는 종교는 역시 테라바다 불교(소승불교)이다.
- 통계적으로 절실한 불교인이 약 65%이고 정령숭배가 35%를 차지한다.
그리고 애니미즘적인 종교 요소는 모든 라오인의 생활속 어디에나 나타나고 있다.
그 중에 대표적인 것이 '바시'라는 것이 있다. (손에 실을 감는 형태)
바시는 모든 라오인들이 무슨 일이 있을 때마다 행하는 것으로 애니미즘의 가장 대표적인 요소를 담고 있다.
아플 때, 여행할 때, 아이가 출생할 때, 죽을 때 등 모든 일에 귀신이 나타나 이들을 방해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귀신을 달래는 행사를 가지는데 이것이 바로 바시이다.
심지어 불교 승려도 이런 의식을 가지기도 하고, 직접 그 의식을 인도하기도 한다.
이 '바시'야말로 라오인들이 불교와 애니미즘이 얼마나 서로 혼합되어 있는지 알려주는 하나의 본보기가 된다.
이런 면에서 라오스에서 순수 종교를 찾기가 매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교는 가장 우세한 종교 중에 하나임은 자명한 사실이다.
당신의 종교가 무엇이냐고 물으면 당연히 라오인들은 불교도라고 대답한다.
-2000년 3월 라오불교협회(Lao Buddhism Fellowship Organigation)가 밝힌 바에 의하면,
라오스내에 2823개의 사찰이 있으며 42개의 불교계 학교가 있고 19,779명의 수도승 및 쿠바(스님)들이 있다 한다.
라오스는 불교국가라서 모든 삶이 불교와 연결되어 있다.
각 마을마다 사원이 있고, 아이들이 태어낱 때부터 불교의 영향을 받고 자라난다.
크고 넓은 절에서 그들은 놀고, 먹고, 교육을 받으며 자라기 때문에 모두 자연스럽게 불교인이 되는 것이다.
이곳 남자들은 10살 정도가 되면 삭발을 하고 수도승으로 불교에 입교하여 불교에 관한 교육을 받으며,
절에서 일정 기간 거주해야 하는 전통이 있어, 거의 모든 사람이 이미 어릴 때부터 불교와 연합을 이루게 된다.
이곳 불교는 소승불교로 한국불교와는 전혀 달라서 산에서 수도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에서 민중들과 함께 하는 불교이다.
음식에 대한 절제도 없어서 고기나 담배 등 일반 사람들이 먹는 대부분을 승려들도 먹는다.
뿐만아니라 라오 불교는 온갖 우상숭배와 샤미니즘,
그리고 귀신문화와 혼합된 불교로 온 국민들에게 크게 영향을 끼치고 있다.
불교는 팡움왕에 의해서 1353년에 라오스에 들어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때부터 불교는 라오스의 주요 종교가 되었다.
심지어 이 땅에 공산주의가 시작된지 20년이 넘도록 공산주의 이데올로기조차 불교를 약화시키지 못했다.
그래서 당국은 결코 불교도들을 계몽시킬 수 없다고 판단하고 전통 공산주의를 포기하고 라오스식 공산주의로 전환한 것이다.
라오스에서 주요 교사는 승려이다. 승려들은 대부분의 마을에서 아이들의 교육을 담당한다.
그들은 읽기와 쓰기 그리고 수학 및 역사, 지리 등을 그들이 알고 있는 불교적 도덕과 세계관을 바탕으로 아이들을 가르치고 있다.
마을마다 있는 절에는 초등교육을 위한 학교가 마련되어 있다.
그래서 라오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매우 중요한 초등교육을 절 안에서 불교 문화를 접하며 자라게 된다.
라오 정부는 승려 조직을 이용한 도움이 그들의 권력 유지에 큰 힘이 된다는 것을 알고,
승려들에게 공산주의와 라오정부의 정책을 재교육시켜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오정부는'극락과 지옥을 믿는 불교 교리와 일은 하지 않고
음식만을 요구하는 불교도들과 승려를 탐탁지 않게 여기고 있다.
라오불교연합회의 조직과 힘은 대단하다.
심지어 시골 절에 수도승을 선출하는 일에도 연합회의 승인을 받아야만 한다.
라오스불교사원
- 애니미즘적인 요소는 라오스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가장 넓게 퍼져 있는 현상이다.
소위 귀신집(spirit house)이라고 하는 것이 있는테
이것은 가정집, 음식점, 사업체, 학교, 농장, 큰 나무밑, 산꼭대기 등 어디에나 있다.
사람들은 이 귀신집을 정성을 다하여 돌봐야 삶의 축복과 육체의 건강을 받을 수 있다고 믿는다.
매일 닥치는 여러 어려움들 속에서 보호와 행운이 있기 위해서는 신과 사람사이에 조화를 이루어져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 끊임없이 귀신집에 있는 신을 섬겨야 한다고 생각한다.
만일 신과 사람 사이에 조화가 깨지면 귀신은 욕구 충족을 위해 다른 곳을 찾아 그 사람을 떠난다고 한다.
이럴 때 그 사람에게는 질병이나 죽음이나 그 밖에 여러 불행이 닥친다고 믿는다.
샤만(shaman)은 이렇게 해서 나간 영를 다시 부르거나 회복시키는 방법을 알려준다.
샤만의 이러한 중개역할은 삶의 사이클을 유지시키기도 하고 또 보수하기도 하는 기능을 한다.
이렇게 서로 연합하고 혼합된 종교적 형태는 어느 한가지 엉격한 종교적 원리에 집착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이런 삶의 형태는 무엇이 높은 것도 낮은 것도 없고,
무엇이 절대적인 것도 하찮은 것도 없는 모든 것이 비슷하다고 하는 세계관을 형성해왔다.
따라서 기독교 복음의 핵심이 오직 예수 그리스도만이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라는 가르침을
라오스의 토양에 심는데 큰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라오스에 처음 들어온 개신교 선교사는 장로교의 다니엘 맥 길버리 선교사(Daniel MC GilVary) 로 알려지고 있다.
그는 1872년부터 1898년 사이에 태국 치앙마이에서 라오스로 여행하며 선교하였는데 그 대상은 카무족이었다.
이어서 들어온 것이 1902년 스위스 형제단 (SwissBrethren)이다.
그들이 처음으로 시작한 사역은 일반적으로 복음전파와 교회 개척 그리고 라오어 성경번역 등이었다.
스위스 형제단 다음으로 들어온 단체는 OMF (OVerseas Miission Fellowship)이다
그리고 CMA (the Christian and Missionary Alliance)가 1929년에 라오 복음교회와 관계를 맺고 들어왔다.
이로 말미암아 CMA는 라오스 기독교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초기의 그들의 사역은 라오어를 습득하는 것과 전도, 교회개척, 그리고 신학교육을 시키는 것이었다.
신학교육은 평신도 지도자와 목회자를 길러내어 토착적 교회가 세워지도록 도왔다.
이러한 도움으로 1975년 라오스가 공산화 될때 이들 단체는 큰 피해를 입지 않았다.
비록 그들 지도자가 국외로 피신했다 하더라도,
라오인들은 스스로 평신도 지도자를 통해 믿음을 지켜나갈 수가 있었다.
1975년 라오스 인민 공화국이 정권을 잡을 때만 하더라도 약 32,000여명의 성인 교인과 함께
약 250개의 조직된 집회 장소가 있었다.
그러나 어느 통계에 의하면 1989년 성인신자가 15,000여명 1993년에는 28,000이라 기록하고 있다.
최근 라오스 교회의 신자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증가비율은 매년 2,000여명 정도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최근 기독교 관련 문서들이 많이 유입되고 있고,
그 중에서 성경이 1992년에 45,000여권이 들어와 라오인들 손에 전달되었다.
1991년에는 목사안수식이 1975년 이래로 처음 있었고, 1997년에도 2명의 목사안수식이 있었다.
그리고 라오스에 크리스천은 전국 17개도 중에 11개의 도에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라오교회는 무종파라고도 말한다.
라오교회는 침례교나 장로교, 감리교, 그리고 CMA등, 어느 다른 외부 교단과도 제휴하는 것을 원하지 않고 있다.
교회 명칭은 아주 간단하게 라오복음교회 (The Lao Evangelical Church)라고 부른다.
이것은 라오 교회의 지도 방침이자 라오정부 역시 이것을 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라오교회는 외딴 섬에 있는 것이 아니기에 이미 태국 교회의 큰 영향을 받아왔으며,
그외에 서방교회와 CMA 선교사들의 방법들이 교회 안의 여러 부분에 나타나고 있다.
현재 총회장으로 싸이비타우 목사님과 총무에 캄펀목사님이 수고하고 있으며
그 외에 5명의 목사가 더 있으며 수도 위앙짠에는 3개 교회에 약 500 여명의 신자가 있고
전국에 약 300여개의 예배처소(기도처소,가정교회 포함)가 있고 약 30,000여명의 성도가 있으며
성장률은 6.2%라고 총회는 밝히고 있다.
1975년에 공산화되면서 모든 외국 선교사들과 라오스의 훈련된 교회 지도자들의 대부분이 국외로 떠났다.
공산화 이후,
남. 북부의 교회들은 스스로 교회를 지키며 협력해오다
라오스정부의 개방화정책이 발표된 이후인 1989년 4월 약 100여명의 대표들이 참석하여
"라오스 복음총회" 라는 교단이 탄생되었으며 정부로부터 허가도 받았다.
라오교회는 1993년까지만 해도 정부와의 관계가 좋았으나
1994년에는 정부의 압력으로 여러 도에서 여러 교회들의 문이 닫히기도 했다.
어떤 지역에서는 개신교인과 천주교인 모두에게 신앙을 포기하는 각서에 서명할 것과
다른 사람과 종교적인 대화를 하지 말 것을 서약하라고 강요하기도 했다.
약 40여개의 교회가 문을 닫거나 학교로 개조되었으며
성경, 찬송가 등 많은 기독교 서적이 압수되기도 했다.
이러한 현상은 현대통령인 캄타이가 취임하던 98년부터 더욱 심해져만 가고 있는데
그 예로 98년초 외국선교사 5명이 정부를 비판하고 타종교(불교)를 비판했다는 죄목을 달아 추방한 일이 있었다.
특별히 핍박이 심한 지역은 루앙프라방, 싼야부리, 씨앵쿠왕, 퐁싸리, 보리캄사이, 아따쁘, 쌔콩등 7개도이다.
현재 라오스 교회의 가장 큰 문제는 신앙의 자유와 훈련받고 경험 있는 목회자 및 평신도 지도자의 결핍이다.
천주교 최초의 라오스 선교는 쟝 드레리아(Jean De Laria)라는 예수회 신부에 의해 1642년에 이루어 졌는데,
불교 승려들에 의해 강제 추방될 때까지 약 5년간 사역하였다.
그 후 1878년에 카톨릭 신부들에 의해 라오스 북부 지역 선교가 시도 되었으나,
1884년에 12명의 사제가 순교하고, 1889년에 5명의 사제가 더 순교하는 많은 어려움 끝에 막을 내렸다.
그리나 1893년에 프랑스의 식민지가 되면서 중. 남부 지역에서 카톨릭 선교의 많은 결실을 거두었다
하지만 공산화 이후 모든 카톨릭 유산들은 공산당이 압수해 갔다.
신경제 정책이 발표된 이후 위앙짠에 있는 일부 카톨릭 교회들은 시설을 재정비하고,
일부지역 마을 소녀들을 위한 교육과 직업훈련 등을 실시하고 있다.
1996년 현재 주교 3명에 의해 4개의 교구가 조직되어 운영하고 있으며
약 30,000명의 신도가 라오스 남부지역에 있다고 한다.

라오스 교회모습
* 언론
1. TV, 라디오
-국영 TV 방송국 1개(LNTV), 국영 라디오 방송국 1개(LNR)가 있음.
- 주별로 LNTV 산하 방송국이 있음.
-위성안테나를 통해 인근국 및 호주방송, CNN 등 국제방송을 시청할 수 있음.
-대부분의 라오스인들은 자국 TV방송보다 태국 방송 시청을 선호 하고 있음.
2. 신문
-신문은 모두 정부계이거나 인민혁명당 기관지의 성격을 띠고 있어 일반적 의미의 자유 언론은 존재하지 않음.
-주요 신문으로는 KPL, PASASON, Vientiane Mai, Vientiane Times 등이 있음.
- KPL
. 일간이며, 국영 통신사가 발행함.
. 공보문화부 관할하에 있고, 기사내용도 공보문화부의 검열을 거친 정부 홍보물 성격이 강함.
. 영어판 54부, 불어판 300부, 라오스어판 320부정도 발행.
. 각국 대사관, 국제기관들의 주요 정보원임.
- PASASON
. '빠사송'은 인민이라는 뜻으로 인민혁명당 기관지임.
. 기사내용도 정치, 경제 등 딱딱한 내용 중심으로 되어 있음.
. 12,000부 발행
- Vientiane Mai
. 일간이며, 공보문화부 관할의 국영 신문사가 발행함.
. 정치, 경제, 문화 등 일반 정보를 다루고 있으며, 수도 비엔티안 일원에서 구독되고 있음.
. 일반 시민들의 정보원으로서 중요한 신문임.
. 약 4,000부 발행
- Vientiane Times
. 주 2회 발행하는 영자지임.
. 비엔티안시 공보 문화국이 발행 및 감독함.
. 비엔티안 거주 외국인들이 주로 구독함.
. 1,200부발행
*음식문화
- 라오스인들이 음식을 맵고 짜게 먹는 것을 보면 한국인의 음식문화와 흡사한 듯한 느낌을 받는다.
라오인들은 주로 찹쌀밥을 먹으며 고기와 야채를 즐겨 먹는다.
바다생선은 바다가 없는 관계로 부족한 편이나,
라오스의 젖줄인 메콩강에서 잡히는 민물고기가 풍성한 편이고,
그것으로 젖갈을 담고 라오스 음식의 특유한 맛을 내고 있다.
야채는 향이 나는 채소 (박하 종류 등)등을 즐겨먹고
육류는 소고기,돼지고기를 즐기는 편이다.
라오스음식중 가장 한국인의 입맛에 맛는 것을 꼽으라면
땀마꿍과 카우팟 그리고 까우삐약, 훠 등을 들 수 있을것이다.
이중에서도 땀마꿍(파파야샐러드)은 익지 않은 파파야를 따서
마치 생채처럼 썰어 여기에 젖갈과 고추 등을 넣어 무치는 것으로 맛이 그만이다.
라오스인들이 가장 즐겨하는 음식으로, 우리나라의 김치에 해당하는 기본음식이라 하겠다.
그리고 카우팟은 우리나라의 중국식 볶음밥에 해당하며,
칼국수에 해당하는 카우삐약 등을 맛있고 값싸게 즐길 수 있다.
- 라오스는 우리와 마찬가지로 쌀을 주식으로 한다.
쌀은 일반 쌀과 찹쌀이 있다.
야채에는 상당히 많은 종류가 있는데
주요 품목으로는 상추, 무우, 배추, 케일, 토란, 죽순, 호박,버섯, 콩, 오이, 가지, 파 등이 있고,
과일은 망고, 바나나, 파파야, 수박, 둘리안 등이 있으며,
육류로는 소, 돼지, 사슴, 오리, 닭, 뱀, 도마뱀 등을 먹는다.
사실 라오의 특별 음식은 거의 없다.
주로 베트남과 프랑스 식민지 시대의 영향을 많이 받아
프랑스 바게트 샌드위치, 베트남 쌀국수, 볶음밥 등을 먹을 수 있다.
루앙남타나 무앙싱에 가서 아침 일찍 시장을 둘러보면 여러 먹거리들을 쉽게 찾을수 있다.
아침에 파는 계란넣은 핫케익이나 바게트 샌드위치가 맛있다.
중국 국경에 가까워 질수록 먹거리가 다양해 진다.
바다가 없는 내륙국가라 해산물은 가격이 비싼 편에 속하며,
프랑스의 영향을 받아 프랑스 요리도 상당히 발달 되어 있다.
라오스의 곳곳에는 노천 식당이 많이 있어 야채와 고기요리를 저렴한 가격으로 풍부하게 즐길 수 있다.
-카우팟은 우리나라의 볶음밥과 매우 유사하며 먹기도 무난하다.
그밖에 쌀국수, 볶음국수 등도 여행자들이 즐겨먹는 먹거리이다.
태국인들이 즐겨 넣어먹는 향료중에 '팍치'라는 게 있는데
일반적으로 한국사람이 팍치가 들어간 음식을 먹기는 힘들다.
카오산로드와 같이 외국인들이 많은 관광지에서는 문제가 없으나,
외곽으로 나갈 경우 '마이사이 팍치(팍치 빼주세요)'하는 말을 하면 되나,
그 맛에 길을 들이는 것도 도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땀마꿍
카오팟
*수도
-비엔티안 ( Vientiane ) : 라오스의 가장 큰 도시이며 수도.
-메콩 강 북동쪽 평야에 자리잡고 있다. 라오스의 중부지방에 있는 하항(河港)으로 강을 이용한 수상교통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주변지역에서 쌀을 집약재배하고 있기 때문에 라오스의 중요한 경제 중심지가 되었다. 열대계절풍 기후대에 있어 낮 평균기온은 1년 내내 27℃를 넘으며 연간 강우량의 80% 이상이 5~9월에 집중적으로 내린다.
13세기말에 세워졌고 16세기 중엽 원래 루앙프라방에 수도를 두었던 라오 왕국('란상'이라고도 함)의 수도가 되었다. 1778년 샴 왕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으며 1828년 속국인 라오스의 왕이 종주국이던 샴에 대항해서 반란을 일으키자 샴으로부터 약탈과 파괴를 당하기도 했다. 일본에 잠시 점령당했던 시기(1945)를 제외하고 1899~1953년 프랑스 총독의 주재지로서 프랑스령 라오스의 행정중심지 역할을 했다. 정부 관청, 외국 대사관, 학교, 라디오 방송국 등의 건물들도 있지만 구식 목조건물도 여전히 남아 있다. 근대적인 공업으로 양조업·목재가공업을 비롯해서 벽돌, 타일, 직물, 담배, 성냥, 합성세제, 플라스틱 가방, 고무 샌들, 철, 강철제조업 등을 하고 있다. 라오스에서 가장 비옥한 저지대에 속하는 주변지역에 사는 라오족 농부들은 쌀·옥수수를 재배하며 가축을 기르고 있다. 1975년까지 비엔티안은 가축의 선적·도살의 중심지이기도 했다. 라오스의 교역국이 베트남에서 타이로 바뀐 후에는 남동쪽에 있는 팍세가 비엔티안 대신 라오스의 주요수입항이 되었다.
비엔티안에는 농학·예술·교육·임학·관개·의학 등 여러 학부를 둔 시사방봉대학교가 있으며 부속기구로 파응굼대학·리세비엔티안·공과대학과 팔리어 연구소, 산스크리트 연구소 등이 있다. 또한 비엔티안 시에는 호파케오 국립박물관, 동사팡메우크 도서관, 국립도서관도 있다. 비엔티안 부근의 메콩 강에서는 작은 배만 항해할 수 있다. 오른쪽 기슭을 지나 타이의 철도종점인 농카이까지는 정기연락선이 운행되고 있다. 국제공항이 있으며 라오스의 루앙프라방·사반나케트 및 베트남의 호치민 시까지 간선도로로 연결되어있다. 북쪽에 있는 남응굼 댐은 주변지역에 전력을 공급하며 남은 전력을 타이에 수출하기도 한다. 가장 유명한 건축물은 1566년경에 지은 타트루앙 사원이다. 이 사원은 프랑스 식민지 시대 펫사라트 왕자가 라오족 공무원들을 지휘해서 복구했다. 인구 534,000
*전통 , 문화
- 라오인의 일반적이 생활 문화를 보면 한국인들과 비슷한 부분이 많이 있음을 보게 된다.
어른을 공경하는 것이나 어른에 대한 예의, 이웃 친척간의 깊은 연대감 등이 그렇다.
이웃에 잔치가 있으면 온 동네가 떠들썩하고, 아낙네들은 모두 가서 도와주기를 즐거워한다. 이렇게 서로 돕고 나누는 것이 이들의 삶에 전통으로 스며져 있음을 보게 된다.
그 외에도 우리와 흡사한 것들이 많이 있는데, 음식으로 면종류나 막걸리, 놀이로는 사자 탈춤놀이, 자치기, 연날리기 그리고 악기로는 징과 피리, 북, 비파 등 우리 나라 국악이나 농악에서 사용되는 악기들이 이곳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라오스 북쪽에는 우리 나라에서는 이제 보기 힘든 물레방아나 디딜방아도 아직 사용되고 있다.
불교는 오래 전부터 이 나라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쳐왔다.
문화재로 라오스에서 가장 크고 신성한 국립기념물로 여겨지는 왓 �루앙이 있다.
이것은 본래 BC 3세기경에 인도의 승려가 부처의 진신사 리를 가져와 모셔놓은 작은 탑예 불과했으나, 약500년 전에 세타틸랏 왕의 명으로 웅장하게 지어졌다.
높이가 45m요, 주변둘래가 68m로 중심부의 중간에는 다시 30개의 작은탑들이 둘러치고 중앙부 탑신에는 황금으로 도색 되어 있다.
이 외에 가장 오래되었다는 사원으로 왓 시사켓(시사켓 사원)이 있고, 1565년에 지어져 고도인 루앙프 라방에서 비취와 에메랄드로 만들어진 불상을 모셔와 안치해 놓은 적이 있는 왓 허파깨오(에머랄드 사원), 위앙짠 수호여신으로 알려진 앗 씨무앙 등이 있다.
이외에 수도인 위앙짠에는 부다공원과 수많 은 절들이 있으며, 옛 고도인 루앙프라방에 허피피타판 (옛 왕궁 박물관], 남쪽인 짬바싹지역에 왓 푸 짬바싹(짬바싹 사원)등이 고루 퍼져있다.
*축제
-라오스 축제일은 주로 라오스 달력에 의해서 행해진다. 라오스 달력은 15일이 한 달로 천체 운행을 기초로 만들어 진것이다. 이것을 흔히 불교 달력이라고도 한다.
-삐마이라오(Lao New Year)
해마다 다양한 행사가 있는 라오스 신년 축제(Lao New Year)는 4월 중순에 있다. 라오인들은 달이 가장 커지고 작아질 때의 사이인 4월 중순에 신년축제를 가진다. 신년축제가 되면 사람들은 도로마다 행진을 하면서 신께 복을 기원하는 행사와 집안을 정결하게 하는 성결의식등도 가진다. 라오인들은 이와 같이 함으로 집안에 모든 악신을 물리칠 수 있다고 믿는다. 그리고 마을마다 있는 절에 가서 부처상을 깨끗이 닦고 그위에 향유를 바르기도 한다. 또한 정결의식 중에 하나로 친구나 만나는 사람들에게 물을 끼얹어 주는데 이것은 악신을 쫓아내고, 더위를 이겨내라는 의미가 담겨있다고 한다
-분방화이(Rocket Festiual)
로켓축제라고 불리는 이 행사는 5월 보름에 있다.
라오인은 이 진통을 브라만교에서 도입했는데 대나무통을 이용하여 로켓을 하늘을 향해 발사함으로 비를 내리게 하는 의식이다.
비록 모든 라오인들은 5월 이후에는 우기가 시작되는 줄을 알면서도 우기철 바로 전에 이 행사를 가지므로 이 의식으로 비가 내린다고 생각하고 있다.
또한 라오인들은 부다의 생일과 죽은 날이 같다고 하며 함께 축하하고 있다.
-분수앙흐아(The Boat Racing Festival)
라오인들은 우기철이 끝나는 10월과 II월 사이에 메콩강에서 보트경기축제를 가진다.
이 행사는 농부들의 농사에 대한 감사의 보답을 하는 행사이기도 하다.
또한 사람들은 집집마다 보트 모형의 배를 만들어서 꽃이 핀 것 같은 촛불을 아름답게 장식해 저녁동 안 대문에 달아 놓거나 그 배를 강물에 띄워 보내므로 악신을 막고 쫓아낸다고 믿고 있다
-분�루왕 (ThatLuwang Festival)
�루앙 축제는 일년에 한 번 11월 초순에 있는 것으로 라오스 전역에 걸쳐 이루어지는 국가적 행사이다.이때는 라오스에서 생산되는 모든 귀중품들과 많은 외국 상품들이 �루앙 앞 넓은 광장에 진열된다.볼거리와 먹거리가 가장 많이 제공되는 이 행사는 약2주간 계속되는데 이 기간 동안에 전국에서 마을마다 차를 전세 내어 위양짠 수도에까지 몰려온다. 시골에 사는 사람들은 일년에 한번 아니 평생에 한번이라도 이 축제에 참석하는 것을 큰 기쁨으로 생각한다.
위양짠에 �루앙이라고 하는 라오스에서 가장 큰탑이 있어 사람들은 이곳을 거룩한 성지처럼 여긴다.이 탑은 약 500년전에 세워진 것으로 그 탑 안에 부처의 발자국이 새겨진 피라밋이 있다고 하여 옛적 에 리오왕은 모든 라오인은 이 탑을 경배할 것을 지시했다고 한다.
그래서 오늘까지 라오인들의 가장 큰 경배 대상이 되고 있으며 특별히 축제일까지 겸하여 이 기간 동안에 모두가 이 행사에 참여하도록 하고 있다.
이곳에 온 사람들은 기뻐하며 탐을 돌고 부처에게 절을 하며 소망을 기원하고, 점을 치는 행사 등 온갖 미신적인 행사를 가진다.
*가정의례
- 라오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자신의 생일을 축하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들은 아기가 태어나면 약 일주일 동안 아기의 출생에 대하여 아기와 엄마를 축하하는 행사를 가진다. 이 기간동안 매일 친척과 친구와 동네 사참들이 찾아와 먹고 노래하며 즐긴다 .그리고 또 하나의 축제는 초상날이다. 이들에게 죽음은 기쁜 일이다. 사람이 죽으면 온 동네 사람들이 몰려와 먹고 마시며 즐거워한다. 그래서 초상집을 "좋은 집"이라고 명하기도 한다. 이들이 이렇게 초상집이 좋은 집이 된 것은 부처의 가르칭 때문이다. 불교에서 죽음은 모든 고통에서 해방되는 것이라는 가르침에 근거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라오인에게 제삿날도 특이하다. 이들은 일년에 한날을 잡아 모든 죽은 조상을 위하여 한날에 제사를 다 지낸다.
*결혼
- 라오스의 결혼은 우리와 다른 것이 많이 있다. 결혼 연령도 다양하여 시골이나 산속에 사는 사람들은 13-15살이면 결혼을 하는데 부모들은 가사의 일손을 위해 조기 결혼시킨다. 그러나 도시에서는 보통 20살 이상이 넘어야 결혼을 하게 된다. 결혼할 때 청첩장을 보내는데, 우리나라와 같이 아는 사람 모두에게 보낸다. 이때 축의금도 당연히 가지고 참석해야 한다. 축의금은 반드시 청첨장을 받은 그 봉투에 다시 넣어서 해야 함으로 우리 나라와 같이 봉투가 없어서 곤란함을 격는 겅우는 거의 없다. 결혼식은 보통 2부로 나뉘어져 행해진다. 1부는 오전에 하고 2부는 보통 저녁에 한다. 오전에는 주로 가족들과 함께 맛캔이라고 하는 행사를 한다. 이때는 음식과 각종 꽃장식을 마련하고서 무당이나 쿠바(스님)을 초청하여 굿 같은 행사를 함으로 결혼을 먼저 신에게 신고하는 것이다. 행사 진행은 무당이나 쿠바가 집전한다. 그는 주문을 외워 신을 부르고 신에게 부부의 결혼을 축복해 준다. 그리고 손에다 실을 매어줌으로 신의 기운과 보호가 항상 있기를 기원한다.
2부 저녁 행사는 알고 지내는 모든 사람들이 참석하여 함께 저녁을 먹고 술을 마시고 노래하고 즐기는 행사이다. 이 행사는 저녁 늦게까지 계속되는데 신랑,신부는 행사가 마쳐질 때까지 손님들에게 숱을 따라주며 노래와 춤을 추어야 한다. 이런 행사로 말미암아 라오스에서 신혼여행은 아예 생각지도 못하고, 이날 신랑 신부는 손님 시중에 녹초가 되고 만다.
흔히 신혼방은 신부집에 마련이 되어 있다. 라오스는 한국과 달리 결혼을 하면 여자가 신랑집으로 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남자가 집을 떠나 신부의 집으로 들어가 신부의 가족과 하나가 되는 것이다.
*종족
- 라오 정부는 전체 종족을 68개 그룹으로 밝히고 있으나 다른 정보 기구들은 전체 117개의 다른 언어 집단이 있다고 말한다. 그 이유는 라오스 정부는 인구조사 때 베트남인이나 중국인들 그리고 깊은 산 속에 사는 종족은 포함 시키지 않기 때문이다. 또 다른 기관인 The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는 라오스에 전체 종족은 93그룹으로 분류한다.
정부자료에 의하면 룸족이 52.5%인 240만명, 카무족이 11%인 50만명, 푸타이족이 10%인 47만명, 몽족이 7%인 32만명으로 밝히고 있다. 그러나 이 모든 종족들은 다음 3가지 큰 종족인 라오텅, 라오쑹, 라오룸족에 모두 포함된다고 볼수 있다.
1. 라오쑹족
라오쑹족(LaoSoung, Upper Land Lao)에서 쑹이라는 라오스말은 가장 높다는 의미로 산위에 살던 족속을 의미한다.
몽(Hmong), 메오(Meo), 미얀(Mien)족이 이에 포함된다. 이들은 약 I500m 이상되는 높은 산에서 살면서 우거진 술을 불태워 화전을 만들어 농사를 짓는데, 첫해는 불탄 재로 인해 많은 수확을 거둘 수 있으나 그 다응해부터는 거름 부족으로 적은 량을 수확한다. 이로 말미암아 이들은 매 삼년마다 다른 지역으로 이사를 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래서 가옥도 튼튼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대나무와 들풀을 엮어 간소하게 만들어 거주한다. 이들의 주요 생산물은 쌀, 옥수수, 양귀비, 기타 나무뿌리 등이다. 버팔로와 말이 농사일에 큰 부분을 강당한다. 돈을 벌 수 있는 양귀비는 농한기에 수확하여 도시에 갔다 팔므로 이 돈으로 의류, 소금, 철기구 등을 다시 구입한다.
라오 쑹족의 마을은 가계의 확장된 형태이다. 마을 딴에 많은 씨족이 있고, 씨족 안에 지도자가 있다. 그리고 추장은 모든 씨족을 통치한다. 그러나 많은 부분에 있어서 추장은 각 씨족의 장들과 의논을 거친 다음 결정한다. 라오 쑹족은 애니미즘을 강하게 의존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샤먼과 마술사들이 마을의 모든 질병자들을 진찰하고 관리하며 더 나아가 마을의 행사나 마을을 옮기는 등의 결정도 전적으로 이들의 영향으로 이루어진다. 라오 쑹족 가운데는 소수의 불교인과 기독교인들도 있다. 특히 CMA(The Christian and Alliance)단체에 의해서 많은 기독교 개종자가 일어났다.
2. 라오텅족
- 라오텅족(Lao Tung, Middle Land Lao)에서 텅이란 말은 산의 중간을 의미하는 말이다.
흔히 몬(Mon), 크머(Khmer)또는 Mon-Khmer라고도 불리어 진다. 라오스에 최초의 정착민인 이 종족은 흔히 산중턱에 거주하며 라오스 북쪽에서 남쪽에 걸쳐 폭넓게 정착하고 있다. 몽족과 비슷한 라오텅족은 산의 비옥한 지역에 주로 거주하며 수목을 베어 내거나 태워서 농사를 짓는다. 타이족에 의해서 라오텅족은 Kha 라고도 불리는데, 그 이름의 뜻은 '종'을 의미한다. 실제로 옛 라오 왕정 정치시대에 이 종족은 왕족의 종이었다. 라오텅은 크게 3개의 부족으로 PhuNoi, So 그리고 Sek으로 약100,000명으로 추산된다. 지금은 문화나 언어 그리고 의복 등 많은 면에서 라오 룸족과 거의 동화되어 가고 있다.
라오텅족 안에서 다시 25-30부족으로 세분된다. 이들은 주로 북쪽에 가장 많이 샅고 있고, 남쪽에는 Bolovan고지를 따라 소수가 있다. 그리고 약 300,000명의 크무족이 Lao Tung안에 포함되어 있는데 최근에 이들의 많은 수가 하나님 앞에 돌아 오고 있다.
3. 라오룸족
- 라오룸족(Lao Loum,Low Land Lao)은 가장 비옥한 메콩강 주변을 따라 거주하고 있다. 13세기 이래 라오스의 지배 종족인 라오 룸족은 전체 인구의 68%를 차지한다. 이들이 라오정부의 주요 요직뿐만 아니라 정당의 대다수를 차지한으로 전체를 통괄하고 있고. 언어는 라오어이며, 주식은 찹쌀이다. 찹쌀을 손으로 먹으며 때로는 젓가락과 스푼도 사용한다. 매운 것을 즐겨 먹고 닭고기나 물고기를 많이 먹는다. 주로 아침은 먹지 않고 점심과 저녁만 소식을 하는 편이다. 대개 주부들도 집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일을 하는 편인데 흔히 노점상이나, 야채판매 또는 사무실이나 공무원으로도 일을 한다. 남성은 흔히 특별한 기술직, 무역직, 용접, 조각, 목공, 석공, 농업, 어업 등에 종사한다
* 가족제도
라오인은 아직 대가족제도이다. 그리고 가계는 남성을 따라 이루어진다. 모든 아이들은 아버지의 성을 따르게 된다. 어른이 되거나 결혼을 하여도 가족의 일원으로 관계가 멀어지는 것이 아니라 여전히 한 가족으로 긴밀한 관계가 유지된타. 흔히 친척들은 서로 가까이 에서 거주하면서 할머니가 손자들을 돌보아 주며 모두가 가족처럼 지낸다. 가족 생계의 책임자로서 남자는 일반적으로 가정의 가장이고 모든 가족의 권위를 가지며 중요한 일들을 결정하게 된다. 농촌의 남자들은 어려운 일을 도맡아 하고 도시의 남자들은 각종 직업에 종사하며 주로 바깥일을 담당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남자들이 결혼을 하면 신부집에서 신부의 가족들과 함께 지내는 관계로 여자들의 발언권이 더 강한 가정도 많이 있다. 그리고 집안 가사의 책임자로서 여자는 가사 일의 총 책임자이다. 아이의 양육에서 교육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가족 일원들의 건강을 위해서 매일 음식을 준비한다. 일반적으로 연간예산이나 지출되는 모든 돈도 여성의 손에서 관리된다. 그리고 여성은 사회의 가장 기초 단위인 가정의 도덕적 모범자로서 그리고 라오스 문화의 전수자로서 큰 역할을 감당한다.
라오스 어린이들은 아주 순박하고 얌전하다. 그들 가운데 요란스럽고 법석,소란스런 면은 별로 없다. 어린아이들이 놀면서 다투거나 싸우는 일은 거의 없다. 나이에 관계없이 누가 무엇을 하자고 하면 따라하고, 또 다른 아이가 다른 것을 하자고 하면 따라하는 아주 순박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순박한 아이들이지만 이들은 어릴 때부터 자신을 관리하고 생계를 유지하는 법을 때우며 자라야 한다. 여자아이들은 집안 일을 도맡아하고 동생들을 돌보며, 돈을 벌기 위해 거리나 시장에서 물건을 팔기도 한다. 남자 아이들은 보다 힘튼 일을 하게 되는데 아버지를 따라 산이나 들에 나가 농사일을 도우며 배우게 된다.
*교통
- 라오스에서 가장 적합한 여행 수단은 비행기이다.
그러나 일반 라오인들에게는 비싼 편이어서 비행기를 이용하기가 힘들고 대부분 육로나 메콩강을 따라 배를 이용한다. 라오스의 육로는 아직 미개발된 상태로 총 22,3211Km중 약 16% 만이 포장되어 있다. 메콩강은 라오스 북쪽에서부터 주요도시인 루앙프라방, 위양잔, 팍세를 거쳐 최남쪽까지 이어져서 가장 큰 수송로가 되고 있다.
도로는 날로 개선되고 있으나 아직 낙후한 상태로 남아 있어 모든 경제활 동에 큰 장애로 작용하고 있다.
모든 자동차는 다 수입에 의존해야 함에 따라 그 가격이 너무 비싸서 일만 대중 대부분은 자동차를 살 수 없다.(세금이 100~120%)
도로 상태 역시 좋지 않은 형편이다.
수도 위엥짠에서도 자동차가 진흙탕에 빠져서 나오지 못하는 광경을 흔히 볼 수 있을 정도이다.
그래서 우기철(5월-10월)이면 큰 불편이 있으며, 어느 지역은(주로 북쪽산간 지역) 통행이 불가능한 곳이 많다.
그리고 직선도로가 없어서 몇 시간이면 갈 수 있는 거리를 며칠씩 가기도 한다.
그러나 1999년 현재 라오스는 1999-2000년의 관광의 해를 맞이하여 위앙짠을 중심으로 여러 곳에 도로포장이 이루어지고 있고 최초로 하수도 공사도 한창 진행 중에 있어 상당히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비행기편은 이와 같은 형편에 최고의 교통수단이 된다.
그러나 대부분 비행기가 낙후되었고, 소형인데다가 비행장 시설의 미흡, 정보행정의 열악 등으로 결항되는 수가 많다.
운항은 국내 17개 도 중에 13 개의 도에 운행되고 있다.
매일 운항되는 도는 3개도 정도이며 보통 I주일에 2-3회 정도 운행되고 있다.
요금은 외국인에게는 10배를 공식적으로 받고 있어 부담이 큰 편이다. (예로 위엥짠과 루왕파방의 경우 내국인은 약 $8인 반면 외국인은 $70을 받는다)
열차는 이 나라에서 볼 수 없는 희귀품이다.
따라서 현재 라오스의 주요 교통수단은 오토바이와 툭툭이(오토바이 뒤에 인력거 같은 것을 연결시켜 놓은 것)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오토바이
개인 교통 수단으로 제일 많이 사용되고 있다. 거의 일본상품으로 종류는 다양하여 대당 $1,30O-2000정도의 가격이다.
-툭툭이
대중교통 수단으로 제일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요금은 정해져 있지 않으므로 타기 전에 미리 흥정을 해야 한다. 이곳.상황을 잘 모르는 외국인이라고 판단되면 가까운 거리에도 보통의 5배 이상은 요구한다. 적절한 요금은 가까운 거리일 경우 한 사람당 1000 kip 정도이다.
-시내버스
본에서 기증한 미니버스가 몇 구간 운행되고 있으나 배차시간이 긴편(30분-1시간 20분 간격)이여서 많이 이용되지 않고 있다. 요금은 1인당 4OOKIP이다.
- 택시
길거리에서 택시는 거의 볼수가 없고 주로 비행장이나 시외버스터미널에 있으며, 가격은 비싼 편이다. 보통 몇 십년은 된 차들로 메타가 없고 흥정을 해야한다
- 시외버스
시외버스를 타고 지방에 가려면 고생을 각오해야 한다.버스자체가 60-70년대 것이고 도로 역시 엉덩이를 가만히 두지 않는다. 요즘들어 한국에서 수입한 중고버스들이 시외버스로 쓰여지고 있다.
그래도 남쪽은 도로가 대부분 좋고 평지여서 큰 어려움은 없다. 그러나 북쪽은 버스가 아닌 트럭을 개조한 것이 많고, 길이 산비탈길이라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가격도 그리 싼 편은 아니다.
-열차
열차는 아직 라오스에서 볼수 없다. 이곳은 철도라는 것이 없기 때문에 열차를 구경 할 수가 없다.
그러나 태국의 농카이에서 한 노선이 조만간 라오스 수도까지 연장될 것이라고 라오스 정부는 밝히고 있다.
현제 철로와 역사 등은 완공되어 있으며 개통시기는 작년 하반기로 예상 되었으나 현제 개통이 미루어 지고 있다.
↓ 사진 (도심지이며 라오스 대부분의 도로는 비포장도로로 아주 열악함 )
* 역사
-라오스인들은 그들의 역사를 크게 4단계로 란쌍왕국이전시대, 란쌍왕국시대, 식민지시대, 라오 P.D.R.시대로 나누고 있다.
-란쌍왕국이전시대 (BC2000~AD 14C)
라오스 땅에서 석기시대부터 인류가 살았다는 증거가 발견되었다. 라오스 남쪽지역에서 공룡의 화석이 발견되었고, 북쪽에서는 유사이전에 사용하던 돌도끼, 항아리, 매장지 등을 포함한 증거물이 새로이 발견되었다. 북쪽을 중심으로 거주하고 있는 라오 부족들은 대부분 세기초에 중국에서 내려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들 대부분의 정착민들은 소작인으로 특정 농산물을 재배하며 바깥세상에 잘 알려지지 않은 상태로 살아오다 AD 757년 쿰러왕이 지금의 루왕파방을 정복하고 그 도시의 이름을 '므앙쑤아'에서 '시양텅'으로 바꾸었던 일도 있었다.
-란쌍왕국시대 (1353~1890)
최초 라오왕국은 팡움왕에 의해 1353년에 세워졌다. 그는 크메르(캄보디아)왕국의 원조를 받아 작고 많은 왕조 세력들을 통합하므로 루앙프라방에서 왕국을 건설한 것이다. 이 왕국이 바로 란쌍왕국으로 그 의미는 "백만의 코끼리"를 상징한다. 이시대의 왕중에서 ㅅ타티�왕은 지금의 수도인 위엥짠으로 수도를 옮겼고 영토확장에 크게 공헌하였 고 라오스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루왕을 만들기도 하였다. 란쌍왕국은 약 200년 동안 존속하다가 1603년 버어마(지금의 미얀마)의 침략으로 붕괴되었다. 그러나 이 왕국은 1637년에 술리나옹싸왕에 의해 다시 재건되어서 약 반세기 동안 황금기를 누리다가 1713년 다시 3왕국으로 분리됨으로 루앙프라방과 위양잔과 짬빠삭에 다른 왕국이 세워졌다. 3왕조로 말미암 아 나라의 세력이 약해지고, 통합과 발전메 큰 장애가 되었으며 인구성장 또 한 둔화되었다. 이것은 지역간의 왕래와 행정력 결핍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1713년부터 1893년, 프랑스가 들어와 지배하기까지 라오 왕국은 이웃나라들과 유대 관계를 맺고 있었 으나 때로는 태국, 버어마, 베트남의 영향 아래 있기도 했다. 1827년에는 완전한 독립을 위하여 아누왕이 태국을 공격했으나 실패로 끝나고, 오히려 태국의 보복으 로 태국은 북쪽 경계선 넓은 지역과 북동쪽에 많은 사람들을 이주시켰다.강제이주로 말미암아 이 지 역에 살게된 약 170만 사람들이 라오계 타이족인 ISAN족(이산)으로 알려지고 있다.
-식민지 시대 (1890~1974)
프랑스는 베트남과 캄보디아를 성공적으로 정복하자 이어서 라오스에도 들어왔다.라오스왕은 태국군 공격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하여 오히려 프랑스를 택했다. 마침내 프랑스군이 메콩강까지 올라와서 태국으로부터 메콩강 동편 모두는 프랑스에 귀속시켰다. 그러나 이후 프랑스는 라오스의 경제적 중요성이 그리 크지 않다고 판단하고 많은 관료들을 라오스에 파견시키지도 않았고, 단지 베트남에 상주하는 관리 몇명이 라오스를 통치하는 경우가 많았다.또한 프랑스는 베트남이나 캄보디아에는 철도공사나 대학 등을 세웠으나 라오스에는 별다른 관심이나 투자를 하지 않았다.나치군의 패전으로 프랑스의 인도차이나의 지배는 일본군의 영향아래 놓이게 되었다.나치군에 대한 연합군의 잇따른 승리는 라오스에서도 라오이사라(the Lao Issara)라 불리는 민족운동이 조직되었다. 라오 이사라의 목적은 일본 군대를 몰아내고 권력을 쟁취하는 것이었다.
1945년 10월 12일, 라오 새정부를 주도해왔던 Phethsarath 왕자가 독립을 선언했다. 1946년 초에는 프 랑스군이 자신의 세력을 재확장하기 위해 라오스로 향했으나 라오-베트낭 군대와 메콩강에서 충돌하게 되었고, 3일간의 격렬한 전투 끝에 라오스 처항군의 주요 인물들이 태국에 피난하였다. 이들은 수 파누옹 왕자와 함께 독립에 대한 자신들의 의지를 태국 정부로부터 지지를 얻어낸다. 프랑스는 라오 왕가와의 협의에서 1949년에 라오스에 더 많은 자치권을 허용한다는 합의에 이른다. 이에 따라 많은 Issara지도자들이 라오 왕가에 합류하였다. 그러나 1950년, Vietminh (베트남 독립동맹)도움으로 라오 스 동북쪽에 거점을 확보하고 있는 또 다른 Issara가 프랑스에 저항하기 위하여 조직되었다. 수파누옹 왕자가 이 저항군을 이끌고 있었다.
1954년에 비로소 Dien Bien산에서의 베트남 승리는 프랑스 통치의 종말을 고하게 되었다. 같은 해 제네바 협상에 따라 모든 외국 군대의 완전한 철수가 채택되었다.연립정부 형성을 위한 최소의 연립정부가 1957년에 세워졌고, 여기의 지도자로서 수파누옹의 형제인 슈바나 푸마(Souvanna houma)왕자가 지명되었다. 이렇게 해서 두 진영(하나는 VietMinh이 지원하 는 진영, 다른 하나는 미국이 지원하는 진영)의 정치적 책동이 시작되었다. 미국의 CIA는 우익정부를 지원하면서 수파누응 왕자체포와 다른 15명의 Pathet Lao(P.L)공산주의 지도자들을 체포하는데 지원 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P.L은 게릴라 전투와 정치적 책략 등으로 동북쪽에 머물던 것이 메콩강까지 확장하게 되었다. Royal Lao Government(RLG)를 지원하고 있었던 미국의 일련의 노력은 베트남 공 격에 대한 비난등으로 고전을 맞게 된다.
1960년 베트남에서의 쿠데타 성공은 수바나 푸마가 이끄는 중립정부 형성에 큰 힘을 얻게 되고 P.L과 민족적 일치 정책을 택한다.1960년 12월 13일 미국의 베트남 공격은 연합정부로 하여금 수도를 포기 하고 P.L과 동맹관계를 맺게 했다. 1962년 제네바협상은 내키지 않는 또다른 연립정부를 승인하게 된다. 그러나 라오스는 계속 베트남과 관계를 증진시키자, 미국은 1964년 10월 라오스를 폭격하기에 이른다. 이 침공에 곧이어 베트남의 호 치민을 향하여 공격을 확대했다.
이때부터 라오스는 본격적으로 정부의 분리가 이루어졌다. 하나는 미국의 후원을 받으며 위앙짠을 근거지로 하고 있던 R.L.G와, 다른 하나는 북베트남, 소련 그리고 중국의 지원을 받으며 삼느아를 거점으로 형성된 P.L단체이다.이후로 약 8년 동안 군 동향이 천천히 변 하여 P.L은 꾸준히 그들의 지역을 확대해 갔으나, R.L.G는 1972년까지 오직 메콩강 유역을 따라 국토 의 약 1/4에 불과한 좁은 지역을 장악하고 있었다. 미국의 베트남 전쟁이 점점 어려워지자 미국과 북 베트남 사이에 협상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1973 년 2월에 라오스의 침공을 중단한다는 협상이 이루어진다. 이로 말미암아 1974년에 수바나 푸마가 이 끄는 P.L조직을 중심으로 민족 단일 정부가 조직된다. 그로부터 우익파의 영향은 점차 쇠퇴하고 주변 국가의 연속 좌익파 승리로 1975년 말 마침내 라오스의 우익파는 종말을 맞게 된다.P.L단체는 1975년 12월 I일과 2일 양일간 위양짠에서 인민대표회의를 열고 여기에서 라오스왕정을 완전히 몰아내고 이른바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을 정식 출범시킨다
-라오인민민주주의공화국
라오 정부가 출범한지 지금까지 1대 수파누옹대통령 2대 까이선대통령 3대 누학대통령 4대 현대통령인 캄따이가 집권하고 있다. 그러나 신정부체제 출범후 약 25년이 지난 지금 라오스는 심각한 국민적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가장 큰 원조국이었던 구 소련이 붕괴되었고, 경제성 약화로 서방 원조 역시 대부분 철수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동안 기초 생필품조차 수입을 억제하던 것을 1989년부터 수입의 문을 확대 개방함으로 말미암아 심각한 무역적자와 Kip(라오스 화폐 단위)의 가치 하락은 계속되었다. 또한 새정부는 인구의 약 10% (약 30만명)나 되는 대부분의 고급 인력이 가난과 억압을 피해 탈출 등으로 처음부터 큰 분담을 져야했다. 탈출국은 미국, 캐나다, 프랑스, 호주, 태국 등이다. 탈출 그룹에 는 국가 공무원, 숙련공, 교수, 경제 전문가, 농민까지 다양하다.도망하려다가 잡힌 약 4만 여명이 재 교육 캠프에 보내졌고, 약 3만명 정도가 정치범으로 체포되었다. 태국에는 1992년까지 약 53,000여명 의 라오인이 피난민 캠프에 있었고, 1996년 10월까지 5000명이 그 캠프에 남아 있었으나 최근에 이들 모두를 라오스에 송환함으로 태국과 난민 문제는 해결되었다.
귀환한 라오 난민들은 유엔의 도움으로 거처가 제공되어서 다시 라오인으로 재적응을 하고 있다.
*정부조직
1. 중앙정부(대통령: Khamtay Siphandone)
대통령 |------부통령
총 리 |------부총리 313개부
-대통령은 국가원수로서 국회의결(출석의원 2/3 이상)에 의해 선출되며, 임기는 5년임.
- 현 Khamtay 대통령은 2002.4 재선출됨.
-총리는 국회의 승인을 받아 대통령이 임명하며, 행정부를 지휘, 감독함.
- 현 Bounnyang 총리는 2002.4월 재임명됨.
2. 지방정부
-16개주외 1개 특별구(사이솜분), 1개 특별시(Vientiane Municipality)로 구성됨.
-각주별로 하부 행정기관으로서 군(무앙), 촌(반)이 있으며, 주지사와 비엔티안 시장은 총리의 제청에 따라 대통령이 임명함.
*국 회
-국회는 단원제이며, 의원 정수는 109명이고, 임기는 5년임.
- 현 제5대 국회는 2002.4 총선거에 따라 선출되었음.
- 현 국회의장: Samane Viyaketh (정치국원, 당서열 2위)
-의원들은 라오스의 유일 정당인 라오인민혁명당(Lao People's Revolutionary Party) 소속으로 그 산하단체인 라오국가건설전선 (Lao Front for National Construction)의 일원이기도 함.
-정기국회는 연 1회 개최되며, 국회는 헌법의 승인 및 수정, 법률의 개폐 및 수정, 국가계획의 승인, 대통령의 선출, 총리의 임명 등 권한을 가짐.
-의원선거는 직접 보통선거로 만 18세 이상의 남.여 성인에게 선거권, 만21세 이상에게 피선거권이 부여됨.
*. 정당 및 단체
1. 라오인민혁명당(Lao People's Revolutionary Party, LPRP)
1930년 창설된 인도지나 공산당을 모체로 1955.3 결성되었음. 현 당서기장은 캄타이 (Khamtay
Siphandone)대통령이며, 당원 수는 약 5만명에 달함. 당 중앙위 위원은 53명임. (정원 11명
포함)
-당의 기본 지도노선은 인민민주제의 확립을 통한 평화, 독립, 단합, 번영된 라오스를 건설하여, 궁극적으로 사회주의 국가를 완성해 나가는 것임.
-중앙위원회에는 주 및 하부 행정단위 별로 지방위원회가 있으며, 당 대회는 5년에 1회, 당중앙위원회는 연 2회 개최하여 당의 지도 방침, 정부의 기본정책 방향 등을 결정함.
-당의 산하 및 외곽 단체로서 라오 국가건설전선, 노동조합연합, 당청년동맹, 당여성동맹, 세계평화위원회, 불교연맹, 각국들과의 우호협회 등이 있음.
2. 라오국가건설전선(Lao Front for National Construction, LFNC)
-인민혁명당 지도하에 그 활동을 돕는 민족통일전선 조직임.
-1979년 전신인 라오애국전선을 대체하여, 평화, 독립, 사회주의 건설 완성을 위한 목적으로 창설됨.
-주요행동 강령:
- 민족단합의 힘 발휘, 노동동맹을 기초로한 민족통일전선의 강화, 사회주의 민주주의 촉진, 국방, 경제, 문화의 건설과 발전에 이바지, 당과 국가의 외교정책 수행에 기여
*사법 및 법률제도
1. 사법제도
-최고 재판소로서 대법원(Supreme People's Court)이 있고, 주 및 군별로 지방 인민재판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최고 재판 소장 및 재판관들은 국회 상임위원회가 임명함.
-재판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공개로 진행되며, 법률고문평의회 가 피고인을 변호함.
-독립기관으로서 중앙의 최고인민검찰청 및 주, 군 별로 지방 검찰조직이 구성되어 있음.
2. 헌법 및 여타 법률
-헌법은 1991.8.15 공포되었으며, 전문 및 10장 80조로 구성되어 있음.
-동 헌법의 기본 이념은 1991.3월 제5차 당대회의 노선을 답습하여, 정치적으로는 일당제를 유지하고 경제면에서는 시장경제와 개방 경제를 지향하는 것으로 되어 있음. 또한, 기본적 인권의 존중, 거주 이전의 자유, 언론 결사의 자유, 교육과 취직의 권리 등도 규정하고 있음.
-헌법 외에 2002.12 현재 약 70여개의 법률이 제정 공포되어 있으며, 미비한 법제정 및 보완에 노력을 경주중임.
*주택과 어린이
라오스에는 바람이 없어 엉성하지만 가정집이 남아 날 수 있다. 비가와도 바람이 없이 조용히 비만 내린다. 그나마 자연의 준 혜택이 아닌가 싶다. 또한 어린이들은 대책없이 방치되는 경우가 많으며 교육에 많은 투자는 할 수 없으나 라오스 국민의 대부분은 그지없이 착하기만 하다.
* 비젼 : 다리건설
-라오스의 사바나켓과 태국간에 다리를 건설중이다.
일본의 차관과 기술로 라오스와 태국이 건설작업에 참여 한다.
라오스를 이 다리의 완공으로 라오스의 경제 발전에 큰 역할을 할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우편
-우편물 발송 및 배달
- 우편물은 국내 우편은 물론 국제우편을 막론하고, 우체국을 통해 발송
- 편지는 주소지까지 배달가능
- 소포인 경우 직접 우체국에 가서 수수료 지불후 수령
-서울-비엔티안간 우편
- 편지의 경우 7-8일 소요, 송료는 원화 500원 정도
- DHL 3일, EMS는 5일 소요
- 소포의 경우 1kg에 US$ 7.7
* 전화
-비엔티안 시내에 카드 공중전화가 있으나, 숫자가 매우 적으며, 국제전화는 호텔이나 우체국 창구에서 가능
-국제전화 요금이 비싼편이며, 야간 할인제도가 없음.
- 한국에 통화시 1분당 2.5불(호텔에서 통화시 1분당 3.7불)수준
-국제선 회선부족으로 연결에 어려움이 있으며, 수도 비엔티안은 도로공사 관계로 일반전화의 불통사례가 빈발함
-최근에는 휴대전화가 널리 보급되고 있으나, 이또한 통신회선 부족으로 연결에 많은 어려움이 따름.
* 기본적 라오스어 (대표적인것만..)
- 여행시 필요한 말
- 인사
안녕하세요? - 싸바이 디
안녕하세요? (아침인사) -싸바이 디 떤 싸오
안녕히 주무세요 ? (취침인사) - 싸바이 디 �
만나서 반갑습니다 - 디 짜이 티 후 깝 짜오
평안하십니까? - 싸바이 디 버
또 뵙겠습니다 - 폰 깐 마이
먼저 가겠습니다 - 커 뚜 아컨
행운을 빕니다 - 커 하이쏙 디
실례합니다 - 커 톳
감사합니다 - 컵 짜이
괜찮습니다 - 버어 뺀 냥
또 만납시다 - 폰 깐 마이
- 자기소개
당신의 이름은 무었입니까? - 짜오 쓰양
저의 이름은 홍길동입니다 - 커이 쓰 홍길동
저는 한국사람입니다 - 커이 뺀 콘 까올리
(당신은)어디서 왔습니까? - (짜오)마때 싸이?/빠텟 냥?
(저는)한국에서 왔습니다 - (커이)마때 까올리
당신의 나이는 얼마입니까? - 짜오 안유 짝 삐 래우?
저의 나이는 30세입니다 - 커이 안유 쌈씹 삐
- 숫자
0(쑨) 1(능) 2(썽) 3(쌈) 4(씨) 5(하) 6(혹) 7(쨋) 8(뺏) 9(까오) 10(씹) 11(씹엣) 20(싸우) 21(싸우엣) 30(쌈씹)100(러이) 1,000(판) 10,000(믄,씹판) 100,000(씹믄)
- 사람, 가족 관계
사람, 인간(콘 마눗) 가족(컵 쿠와) 어른(푸 야이)
어린이(덱 너이) 남자(푸 싸이) 여자(푸 닝) 소녀(덱 닝)
아들(룩 싸이) 딸(룩 싸우) 할아버지(퍼 뚜)
할머니(매 뚜) 친구(프안) 친척(얏 띠피 넝) 애인(홴)
아버지(퍼) 어머니(매) 형,오빠(아이) 언니,누나(으 아이)
동생(넝) 남편(푸아) 아내(미 야)
- 교통
차(롯) 버스(롯 메) 택시(롯 딱시) 기차(롯 화이)
트럭(롯 반 툭) 자전거(롯 팁) 공항(든 흐아 빈)
보트(흐아) 선착장(타 흐아) 스피드 보트(흐아 와이)
슬로 보트(흐아 싸) 역/정거장(싸타니) 비행기(몬)
- 먹거리
음식(아 한) 아침식사(아한 싸오) 점심식사(아한 티양)
저녁식사(아한 캄) 메뉴(라이칸 아한/메누) 소고기(웅아)
닭고기(까이) 돼지고기(무) 생선(빠) 새우(꿍) 조개(허이)
생선튀김(빠 텃) 새우튀김(꿍 텃) 국수(훠) 밥(카우)
찹쌀밥(카우 냐우) 볶음밥(카우 팟) 닭튀김(�까이)
계란후라이(카이 다우) 계란(카이) 죽(카오 삐약 카오)
식수(남 듬, 남 빠오) 온수(남 헌) 찬물(남 옌)
음료수(크 앙듬) 얼음(남 껀) 차(남싸) 홍차(남싸 화랑)
중국차(남싸 찐) 위스키(윗싸끼) 과일쥬스(남막 마이)
오렌지쥬스(남쏨) 세븐업(쎄웬압) 커피(카훼)
코카콜라(꼴라) 펩시콜라(-�) 맥주(비야) 술(라오)
양념장(남찜) 간장(남 씨유) 설탕(남 딴) 소금(끄아)
우유(놈�) 과일(막 마이) 파인애플(막 낫)
바나나(막 꾸어이) 수박(막 모) 야자열매(막 파오)
망고스틴(막 망쿳) 용안(막 냠 냐이) 망고(막 무엉)
파파야(막 훙) 로즈 애플(막 끼앙) 두리안(툴리안)
레몬(막 나우) 야채(팍)
- 시간, 방향
시간(웰라) 분(나티) 시(쑤아몽) 초(위 나티)
아침에(떤 싸오) 점심에(떤 티양) 저녁에(떤 랭)
오전(껀 티양) 오후(랑 티양) 오늘(므니)
어제(무완니) 내일(므은) 오른쪽(콰) 왼쪽(싸이)
앞쪽(캉 나) 뒤쪽(타 랑)
- 기타
화장지(티쑤) 성냥(마이킷화이) 지도(팬티) 학교(홍히안)
사진(� 타이) 공원(쑤언) 경찰(땀루왓)
경찰서(싸타니 땀루왓) 비누(싸부) 열쇠(룩 꾼째)
- 거리에서
아침시장에 가고 싶습니다 - 커이 약 빠이 딸랏 싸오
얼마나 멉니까? - 까이 타오 다이?
몇 킬로미터나 됩니까? - 짝 낄로멧?
몇 시에 떠납니까? - 빠이 짝 몽?
여기가 어디죠? - 유 니 유 싸이?
어디가세요? - 빠이 싸이?
얼마입니까? - 타오 다이? , 5000낍입니다 - 하판 낍
너무 비쌉니다 - 팽 라이 라이
깍아주세요~ - 커 롯 다이 버어~
좌/우 회전 해주세요 - 리여우 싸이/콰
곧장 가세요 - 빠이 쓰쓰
여기/저기 세워주세요 - 윳 유 니/푼
- 숙소에서
빈 방 있습니까? - 미 헝 왕 버어?
있습니다/없습니다 - 미/버어 미
방 좀 보여 주시겠습니까? - 커 벙 헝다이 버어?
택시를 좀 불러 주세요 - 쑤 와이언 딱시 하이 커이대
- 호텔(홍햄) 선풍기(팟 롬)에어컨(애 옌) 냉장고(깐 파이 파)
침대(띠앙) 모기약(야 깐융) 이불(파 홈)
- 식당에서
몇 명입니까? - 짝 콘?
두 명입니다 - 썽 콘
마실 것은 무엇으로 하시겠습니까? - 듬 냥?
메뉴를 보여주세요 - 커 벙 라이깐 아한 내
잔은 세 개 주세요 - 커 쩍 쌈 바이 나
팍치를 넣지 마세요 - 버어 싸이 팍씨
맵지 않게 해주세요 - 아오 버어 펫
배고픕니다 - 히우 카우
배부릅니다 - 임 래우
목마릅니다 - 히우 남
맛있습니다 - � , 달다 완 , 싱겁다 짱 ,맵다 펫
짜다 - 켐 , 쓰다 - 콤 , 시다 - 쏨
- 그밖에 유용한 표현
영어를 할 수 있습니까? - 빡 팟싸 앙킷 다이 버어?
저는 라오스 말을 잘 못합니다 - 커이 빡 팟싸 라오 버어 다이 라이
저는 라오스 말을 조금 할 줄 압니다 - 커이 빡 빠싸 라오 다이 닛너이
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 - 커이 학 짜오
나는 당신을 좋아합니다 - 커이 막 짜오
아름답다(응암) 귀엽다(나학) 춥다(나우) 덥다(헌)
피곤하다(느어이) 웃기다(딸록딸록) 재미있다(싸눅 디)
좋다(디) 나쁘다(버어 디) 못해요,안돼요(버어 다이)
필요없다(버어 아오) 좋아한다(막)
도와주세요(쑤어이 대) 모르겠습니다(커이 버어 후 짝)
친절하다(짜이 디) 최고(디 티�) 행복한(미 쿠암 쑥)
'해외여행 이야기 > 해외여행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여행: 집에서 세계여행 (0) | 2015.02.22 |
---|---|
풍경: 나이아가라폭포, 우유니 소금사막, 아브심벨신전 (0) | 2014.04.22 |
오키: 연수원식당(한국음식) (0) | 2013.09.15 |
일본: 국제자동차운전면허증 발급(9.13 금) (0) | 2013.09.13 |
가고픈곳: 하롱배이2 (0) | 2013.07.15 |